대학교나 대학원을 다니며 학비와 생활비 부담으로 고민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특히 취업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학자금을 마련하는 일은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이런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졸업 후 취업 소득이 생긴 뒤에 상환을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가 바로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입니다.
정부는 소득 수준에 따라 상환을 유예하고, 일정 소득 이상이 되면 안정적으로 상환을 시작하도록 설계해 학생들의 학업 기회를 넓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의 신청대상, 대출내용, 신청절차, 상환방식까지 차례로 살펴보겠습니다.
신청대상
학부생
-
학자금지원 9구간 이하(기준중위소득 300% 이하), 만 35세 이하
-
생활비대출은 학자금지원 8구간 이하(기준중위소득 200% 이하), 또는 9구간 중 긴급생계곤란자, 만 35세 이하
-
다자녀(3자녀 이상)가구 및 자립준비청년은 소득 무관
-
선취업 후 진학자는 만 45세 이하
-
직전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신입생, 장애인은 학점요건 제외)
대학원생
-
학자금지원 4구간 이하(기준중위소득 90% 이하), 만 40세 이하
서비스 내용
-
등록금 대출: 해당 학기 등록금 전액
-
생활비 대출: 연 400만 원 한도 (학기당 200만 원)
-
대출금리: 연 1.7% 고정금리 (2025학년도 1학기 기준)
-
이자 지원 혜택
-
기초·차상위·다자녀 가구 학생: 졸업 및 상환기준소득 초과 전까지 이자 면제
-
기준 중위소득 이하 학생: 졸업 후 2년 이내 상환소득 초과 전까지 이자 면제
-
자립준비청년: 의무상환 개시 전까지 생활비 대출 무이자 지원
-
신청방법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매 학기 신청기간 확인 후 본인 명의 계좌 등록 및 서류제출
상환방법
-
연간 소득이 상환기준소득(2025년 기준 연소득 2,851만 원)을 초과하면 의무상환 개시
-
초과 전까지는 원리금 상환 유예
-
상환은 소득에 비례하여 원천징수 방식으로 자동 진행
-
조기상환도 본인 선택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