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보장패키지 vs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비교 정리

 
청년도약보장패키지 vs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지원금, 확실히 구분해드립니다

요즘 청년 지원 제도에 관심 많은 분들 사이에서 "월 50만 원씩 6개월간 준다더라" "내가 일하면 기업도 지원받는다던데?" 이런 얘기 자주 들리죠?
이름은 다 ‘청년’, ‘지원금’, ‘도약’ 이런 단어가 붙다 보니 정작 누가 지원을 받는지,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둘을 확실히 구분해드겠습니다.
누가 돈을 받는지, 어떤 제도인지만 알아도 혼란 없이 정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1. 청년도약보장패키지

청년 개인에게 직접 돈이 지급되는 제도

대상은 미취업, 구직단념, 사회적 고립 청년 등입니다.
심리·취업상담, 집단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면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급은 청년 본인 계좌로 현금으로 이뤄집니다.
신청은 거주지 관할 청년센터나 청년정책플랫폼을 통해 가능합니다.
※ 대학생 중 주간 재학생은 제외 대상이며, 야간·방통대·졸업예정자는 예외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2.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이 받는 제도

대상은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중소기업입니다.
청년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하면 기업에 최대 96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지급은 기업 계좌로 분할 지급됩니다.
청년은 직접 돈을 받는 건 아니지만, 복지나 급여 안정 측면에서 간접적인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 비교표 한눈에 정리

구분 청년도약보장패키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 대상 청년 본인 청년을 채용한 기업
신청 주체 청년 기업
지원 방식 현금 직접 지급 기업에 인건비 보전
지급 시기 참여 1개월 후부터 고용 유지 확인 후 분할 지급
최대 금액 총 300만 원 총 960만 원

청년이면 무조건 되는 것은 또 아닙니다.
자신의 현재 상태(재학 여부, 미취업 여부 등)를 먼저 따져보고 해당되는 제도가 뭔지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제 이름만 봐도 헷갈리지 않으시겠죠?












신고하기

[2026년 기준 중위소득 6.51% 인상] 생계급여부터 주거·교육비까지 달라지는 내용 완벽 정리

2025 전기요금 복지할인 제도 총정리|신청대상부터 감면금액·신청방법까지 안내

[온라인 판로지원]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교육받고 매출 늘리세요!! 교육신청방법까지 정리

이미지alt태그 입력

디플/블스/수직/반응 8/4

디플/블스/수직/반응 8/4